대중음악사 기록 이끈 최정윤 대표
121명의 54개 무대 ‘아카이브K’
7개 주제로 한국 가요사 담아내
“대중음악에 30년 진 빚 갚고 싶어”
자료 공유 플랫폼도 만들 계획
“신중현 선생님이 편찮으신가 봐. 그분이 안 계시면 누구한테 한국 록 역사를 들을 수 있을까. 음악인들 얘기는 술자리에서 전해진 얘기만 있고, 제대로 된 기록은 없는 것 같아 속상하다.”
SBS ‘전설의 무대 아카이브K’의 출발점이다. 몇 년 전 SBS 최영인 예능본부장과 최정윤 음악감독, 윤일상 작곡가가 나눈 얘기가 모티브가 돼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기록하는 다큐음악쇼가 나왔다. 2년간 대중음악 종사자 207명을 인터뷰한 분량만 1만 5012분. 대장정이었다. 방송이 나가는 10회 동안 아티스트 121명이 54개의 무대를 꾸미고 관련 이야기를 기록했다. ‘K팝스타’ ‘더 팬’ ‘판타스틱 듀오’ 등 음악 예능에서 잔뼈가 굵은 최 감독이 아예 아카이빙 전문 제작사를 설립했고,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KC벤처스 등 벤처캐피털도 투자했다.
4일 서울 성수동 사무실에서 만난 최정윤 일일공일팔 대표는 “이렇게 힘든 일인 줄 모르고 덤볐다”고 말했다. 그는 예중·예고를 나와 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했지만 방송국 음악감독으로 30년간 밥벌이를 한 사람으로서 대중음악에 대한 ‘빚진’ 마음을 갚고 싶었다고 했다. “그때만 해도 클래식을 전공하면 가요와 팝송을 듣는 게 금기시됐어요. 그런데 고등학교 2학년 때 친구가 들려준 김현식·들국화 음악에 큰 충격을 받았죠. 전혀 다른 세상이구나 했죠. 그 후 다른 분들이 만든 훌륭한 음악을 쉽게 사용하면서 내가 이분들을 위해서 한 일은 하나도 없네. 이제는 빚 갚음을 해야 하지 않을까 싶었어요.”
최 대표는 대중음악사 관련 논문, 서적부터 훑어봤다. 영화 같은 타 장르보다 편수가 적었고 내용도 음악 자체보다는 시대상이나 표현 양식 등 부가적 요소를 다룬 게 더 많았다. 동물원 박기영의 석사 논문을 읽고 인터뷰를 병행하면서 한국 대중음악사의 변곡점을 찾아 나갔다. “처음엔 발라드·댄스 등 장르로 접근하려 했어요. 현진영씨를 댄스 가수라 지칭하니 본인은 ‘춤도 잘 추는 힙합 가수’라고 하더라고요. 장르 구분이 모호한 거죠. 사람을 쫓으며 비슷한 음악을 하는 사람들의 공간이 하나씩 보이더라고요. 동아기획 뮤지션이 당시 녹음을 전담한 서울스투디오를 소개해 주는 식으로 하나씩 퍼즐이 맞춰져 갔죠.”
1~2회는 한국형 발라드의 계보로 시작했지만 3회는 90’s 나이트 DJ와 댄스음악, 4회 이태원 문나이트, 5~6회 홍대 앞 인디뮤직, 7회 대학로 학전 소극장, 8회 동아기획 사단, 9~10회 바다를 건넌 K-Pop 등 7개 주제로 나눈 것도 그 때문이다.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가 세계 무대를 휩쓸면서 그들의 성과에 집중하는 분석은 많아요. 하지만 K팝이 전 세계 주목을 받게 되기까지는 여러 모멘텀이 있었죠.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로 중국에서 한류 열풍을 부른 안재욱부터 H.O.T.·보아·원더걸스·비 등이 하나씩 주춧돌을 놓았고요.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큰 인기를 끌면서 유튜브가 라디오 못지않게 중요한 플랫폼으로 인식되고 빌보드 등 해외 주요 차트도 집계 기준을 바꾸면서 그 수혜를 입게 됐지요.”
최 대표는 인터뷰 중엔 학전 김민기 대표의 인터뷰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아동극을 계속하는 이유를 물어보니 ‘아이들에게 엄마의 모유를 계속 먹여주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금전적 보상이 충분하지 않아도 본질을 지키려는 마음이 와 닿았어요. 제일 처음 찾아뵀는데 그동안 모아놓은 학전 공연 자료를 다 제공해 주셔서 큰 힘이 됐고요. 6mm, 8mm, VHS 등 다양한 포맷의 자료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최 대표는 “대학로 공연 부흥기를 이끌었던 소극장이 많이 사라져서 아쉽다”며 “더 많은 가수와 관객이 찾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학전 되살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전설의 무대 아카이브K’는 14일로 끝이 나지만 일일공일팔의 아카이브K는 이제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못 다룬 주제도 너무 많아요. 조용필·나훈아·서태지 등 못 만난 분들도 많고요. 가수뿐 아니라 작곡가·작사가·연주자 등 뒤에서 함께 음악을 만드는 이들의 이야기도 담고 싶어요.” 이미 다음 프로젝트에 착수했다는 그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등 관심을 갖는 플랫폼도 여러 곳이라고 귀띔했다. “그동안 특정 방송국, 기획사, 뮤지션을 앞세워 내놓은 기획안은 많았는데, 아무래도 한쪽으로 치우쳤다고 하더라고요. ‘언저리’에 있는 저 같은 사람들이 역할을 찾은 것 같아요.”
아카이브K 챌린지를 통해 팬들이 보낸 자료도 모으고 있다. 아티스트와 사용자들이 자료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집단지성 온라인 플랫폼 ‘우리가요’도 만들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함께 한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는 “그동안 현재가 과거가 되는 순간 역사로 남지 않고 소멸하는 걸 보면서 안타까웠다”며 “아티스트별로 자료를 아카이빙해 조력자 혹은 관련 계보를 만들고 새로운 2차 콘텐트 제작으로 이어지는 풀을 구축하려 한다”고 밝혔다. 그는 “조선왕조실록이 디지털화된 이후 이를 토대로 수많은 드라마와 영화가 생겨난 것처럼 우리 가요를 토대로 새로운 음악과 이야기가 발견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